console.log() 함수는 여러 개의 인수를 받으면, 각 인수를 출력할 때 기본적으로 공백(space)으로 구분하여 한 줄에 표시합니다.
해당 코드 분석:
JavaScript
console.log("당신의 나이는", age, "살입니다.");
여기서 console.log 함수에는 다음 세 개의 인수가 전달되었습니다:
- 문자열 "당신의 나이는"
- 변수 age (값이 25라고 가정)
- 문자열 "살입니다."
console.log는 이 인수들을 순서대로 출력하면서 각 인수 사이에 공백을 자동으로 추가합니다.
- "당신의 나이는" 출력 -> 당신의 나이는
- (자동 공백 추가) ->
- age의 값 25 출력 -> 25
- (자동 공백 추가) ->
- "살입니다." 출력 -> 살입니다.
이것들을 합치면 최종적으로 당신의 나이는 25 살입니다. 와 같이 공백이 포함된 결과가 나오는 것입니다.
만약 공백 없이 "당신의 나이는25살입니다." 와 같이 출력하고 싶다면, console.log에 하나의 문자열만 전달해야 합니다. 이를 위해서는 문자열 연결(+)이나 템플릿 리터럴을 사용하면 됩니다.
- 문자열 연결 사용:
JavaScript
console.log("당신의 나이는" + age + "살입니다.");
- 템플릿 리터럴 사용:
JavaScript
console.log(`당신의 나이는${age}살입니다.`);
이 두 방법은 먼저 "당신의 나이는25살입니다." 라는 하나의 완성된 문자열을 만든 후, 그 문자열 하나를 console.log에 전달하기 때문에 중간에 공백이 들어가지 않습니다.
console.log(a,b,c) 같이 여러 인자로 구성된 경우, 각 인자 사이 공백
+를 이용한 문자열 연결이나 템플릿 리터럴의 경우, 입력 그대로 출력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바 스크립트의 String (0) | 2025.04.12 |
---|---|
readFileSync 를 이용한 입력 (0) | 2025.04.11 |
동등 연산자, 일치 연산자 (0) | 2025.04.11 |
자바스크립트의 자료형 (0) | 2025.04.10 |
let, const, var (0) | 2025.04.09 |